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말레이시아 항공/이전 보유 기종

덤프버전 : (♥ 0)


파일:상위 문서 아이콘.svg   상위 문서: 말레이시아 항공

파일:관련 문서 아이콘.svg   관련 문서: 말레이시아 항공/보유 기종
,
,
,
,
,





1. 에어버스[편집]



1.1. A300[편집]


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 일자 퇴역 일자좌석수비고
9M-MHAA300B4-2031979년 10월 30일1994년 12월 2일
9M-MHB1979년 12월 28일1995년 4월
9M-MHC1980년 1월 18일1995년 3월
9M-MHD1981년 7월 24일1994년 11월 10일
F-BVGM1988년 5월 1일1989년 5월 27일
OY-KAAA300B4-1201983년 10월 12일1989년 12월 18일
TF-ELWA300C4-605R2008년 9월2010년 5월

1.2. A310[편집]


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 일자 퇴역 일자좌석수비고
F-ODVFA310-3041990년 3월1990년 12월

1.3. A330[편집]



1.4. A380[편집]



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 일자 퇴역 일자좌석수비고
9M-MNAA380-8412012년 5월 19일2020년 2월 7일
9M-MNB2012년 7월 27일2020년 3월 7일
9M-MNC2012년 10월 26일2020년 2월 26일
9M-MND2012년 10월 31일2020년 4월 20일
9M-MNE2013년 2월 7일2020년 2월 11일
9M-MNF2013년 3월 13일2020년 4월 30일‘100번째의 A380’ 특별 도장
코로나 19로 인해 이용객 감소로 전부 퇴역했다.


2. 보잉[편집]



2.1. 보잉 737[편집]



2.1.1. 보잉 Next-Generation 737[편집]



2.2. 보잉 747[편집]


여담으로 코스타항공[1] 홈페이지에 해당 기종이 뜬 적이 있다.[2]

2.3. 보잉 777[편집]


파일:9M-MRO.jpg
보잉 777-2H6ER 9M-MRO[3]
파일:external/cdn-www.airliners.net/2536717.jpg
{{{#ffffff 보잉 777-2H6ER 9M-MRD[*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항공기로 해당 사건이 터지기 직전에 찍힌 마지막 이륙 모습이다.]}}}
말레이시아 항공에게 트라우마 같은 존재이다. 이유는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때문. 같은 보잉 777-200ER인건 물론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이 일어난지 불과 4개월 만에 또 발생했다. 이 일로 인해 스카이트랙스 4성급으로 강등, 대폭 증가한 예약 취소율 등 안 좋은 일을 많이 겪어 결국 A330을 도입하고 보잉 777을 싹다 퇴역해 버렸다.[4]


3. 맥도넬 더글라스[편집]



3.1. DC-10[편집]



3.2. MD-11[편집]


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 일자 퇴역 일자좌석수비고
N271WAMD-115251995년 6월1997년 7월 4일
N272WA5061996년 11월 24일1998년 5월 13일
N273WA5391994년 10월 18일1995년 5월
N274WAMD-11F5631998년 9월 26일2000년 3월 11일화물
N275WAMD-11CF5791983년 10월 12일1989년 12월 18일
N276WA5821997년 8월1998년 8월 13일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27 15:50:49에 나무위키 말레이시아 항공/이전 보유 기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대한민국의 없어진 항공사이다.[2] 파일:attachment/uploadfile/1-24.jpg[3]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항공기.[4] 물론 A330도 예전부터 도입해서 쓰고 있었지만 보잉 777의 퇴역에 대비하여 몇 대 더 추가로 인도했다.